크리스토퍼 놀란은 시간의 개념을 뒤틀기로 유명하지만, 테넷에서는 그저 ‘뒤트는’ 수준을 넘어서 아예 ‘거꾸로 되돌립니다’. 2020년에 개봉한 테넷은 아마도 놀란 감독의 작품 중 가장 복잡하고 야심 찬 영화일 것입니다. 첩보, 물리학, 철학을 하나의 퍼즐처럼 결합해 전 세계 관객의 극과 극 반응을 이끌어낸 작품입니다.
시간을 비튼 첩보 스릴러
겉으로 보기엔 테넷은 평범한 첩보물처럼 보입니다. 이름 없는 주인공(존 데이비드 워싱턴 분)은 세계 멸망을 막기 위해 비밀 조직에 스카우트됩니다. 하지만 이건 놀란 영화입니다 — 절대 단순할 리 없죠.
이 영화의 핵심은 ‘시간 역행(inversion)’이라는 개념입니다. 특정 물체나 인물들이 시간을 거꾸로 흐르며 이동할 수 있다는 설정입니다. 이로 인해 총알이 총으로 다시 빨려 들어가고, 무너진 건물이 되살아나며, 인물들이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실과 상호작용하는 장면들이 펼쳐집니다.
시간 역행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인 시간 여행이 시간축을 넘나드는 것이라면, 시간 역행은 ‘과거에 존재하면서 시간을 거슬러 살아가는’ 개념입니다. 이는 실제 과학 이론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시스템 내 무질서도의 척도인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놀란은 이 개념을 보다 과학적으로 설득력 있게 만들기 위해 실제 물리학자들과 협업했지만, 영화는 과학보다는 이야기 전개를 위한 장치로 이를 활용합니다. 관객에게 모든 걸 이해시키려 하기보단, 인과관계와 운명, 자유의지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집니다. 논리를 이해하기보다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죠.
소리, 구조, 그리고 감각적 연출
테넷은 기술적으로 경이로운 영화입니다. 루드비히 요란손의 강렬한 음악, 호이테 반 호이테마의 다이내믹한 촬영은 관객을 혼란스럽게 만들면서도 몰입시키는 데 성공합니다. 액션 장면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촬영되며, 전례 없는 복잡함을 보여줍니다.
특히 사운드 디자인은 많은 논란을 낳았습니다. 어떤 관객은 실험적인 접근이라며 찬사를 보냈고, 어떤 이들은 대사가 잘 들리지 않아 답답함을 느꼈죠. 하지만 놀란의 의도는 분명했습니다 — 설명보다는 ‘경험’에 집중하라는 것. 말 그대로 감각을 자극하는 시네마였습니다.
퍼즐 속 감정의 핵심
지적이고 복잡한 구성 속에서도, 테넷은 감정 없이 흘러가지 않습니다. 닐(로버트 패틴슨 분)과 주인공 사이의 관계는 영화 마지막에 이르러 놀라운 정서적 울림을 전달합니다. 종종 감정적으로 차가운 편이었던 놀란의 영화들 속에서, 테넷은 시간과 희생을 통해 맺어진 깊은 유대감을 암시합니다.
또한 캣(엘리자베스 디비키)의 서브플롯 — 학대에서 벗어나 아들을 지키고자 하는 그녀의 열망 — 은 고차원적 서사에 인간적인 공감대를 더합니다. 일부 비평가들은 인물의 깊이가 부족하다고 했지만, 이들은 논리의 세계에서 감정적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한 번으론 부족한 영화
테넷은 정답을 주지 않는 영화입니다. 관객은 비선형 구조를 퍼즐처럼 조립하고, 자신이 본 것에 의문을 품고, 다시 처음부터 바라봐야 합니다 — 정방향과 역방향 모두로. 집중하지 않으면 놓치는 것이 많지만, 다시 보면 새로운 의미가 보입니다.
어떤 이는 이것을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자의식 과잉이라고 말하지만, 또 어떤 이들은 이를 의도된 예술적 도전으로 봅니다. 놀란은 관객에게 ‘쉽게 만들어 주지 않음’으로써, 진정한 영화적 사고와 몰입을 요구하는 셈이죠.
결론: 들어갈 가치가 있는 영화적 미로
테넷은 모두를 위한 영화는 아닐 수 있습니다. 높은 지적 요구, 복잡한 플롯, 비전통적 리듬은 일반 관객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형식과 내용을 대담하게 실험하는 영화 예술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테넷은 유일무이한 경험입니다.
이건 단순한 영화가 아닙니다 — 하나의 사건이며 도전입니다. 관객에게 생각하고, 느끼고, 기대를 ‘역전’하라고 요구합니다. 놀란은 우리에게 총알이 다시 총으로 빨려 들어가는 장면을 보여주며, 시간이라는 개념 자체를 다시 정의합니다.
“HTML 코드로 제공해 드릴까요? 숫자 ‘1’ 입력하시면 HTML 코드로 변환해 드리겠습니다.”